자주 사용하는 Linux 명령어
Linux는 강력하고 유연한 운영체제로, 다양한 명령어를 통해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. 아래는 Linux에서 자주 사용하는 기본 명령어들을 정리한 목록입니다.
파일 및 디렉토리 관리
1. ls
• 디렉토리 내 파일 및 디렉토리 목록을 표시합니다.
• 사용법: ls (기본), ls -l (상세 목록), ls -a (숨김 파일 포함)
리눅스(linux) 명령어 가이드: ls 명령어 사용법과 옵션
리눅스 명령어 가이드: ls 명령어 사용법과 옵션 Linux 및 Unix 기반 시스템에서 디렉토리의 내용을 나열하는 데 자주 사용되는 ls 명령어는 파일 및 디렉토리 목록을 출력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.
kgon.tistory.com
2. cd
• 디렉토리를 변경합니다.
• 사용법: cd directory_name
리눅스(linux) 명령어 가이드: cd 명령어 사용법과 옵션
리눅스 명령어 가이드: cd 명령어 사용법과 옵션 Linux 및 Unix 기반 시스템에서 디렉토리를 변경하는 데 자주 사용되는 cd 명령어는 파일 시스템을 탐색하는 데 필수적입니다. 이 블로그에서는 cd
kgon.tistory.com
3. pwd
• 현재 작업 중인 디렉토리의 경로를 출력합니다.
• 사용법: pwd
리눅스(linux) 명령어 가이드: pwd 명령어 사용법
리눅스 명령어 가이드: pwd 명령어 사용법 Linux 및 Unix 기반 시스템에서 현재 작업 중인 디렉토리의 경로를 출력하는 데 사용되는 pwd 명령어는 파일 시스템을 탐색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. 이 블로
kgon.tistory.com
4. mkdir
• 새로운 디렉토리를 생성합니다.
• 사용법: mkdir directory_name
리눅스(linux) 명령어 가이드: mkdir 명령어 사용법
리눅스 명령어 가이드: mkdir 명령어 사용법 Linux 및 Unix 기반 시스템에서 새로운 디렉토리를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mkdir 명령어는 파일 시스템을 관리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. 이 블로그에서는 mkdi
kgon.tistory.com
5. rmdir
• 빈 디렉토리를 삭제합니다.
• 사용법: rmdir directory_name
리눅스(linux) 명령어 가이드: rmdir 명령어 사용법
리눅스 명령어 가이드: rmdir 명령어 사용법 Linux 및 Unix 기반 시스템에서 빈 디렉토리를 삭제하는 데 사용되는 rmdir 명령어는 파일 시스템을 관리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. 이 블로그에서는 rmdir 명
kgon.tistory.com
6. rm
• 파일 또는 디렉토리를 삭제합니다.
• 사용법: rm file_name, rm -r directory_name (디렉토리 및 그 안의 파일들 삭제)
리눅스(linux) 명령어 가이드: rm 명령어 사용법
리눅스 명령어 가이드: rm 명령어 사용법 Linux 및 Unix 기반 시스템에서 파일과 디렉토리를 삭제하는 데 사용되는 rm 명령어는 파일 시스템을 관리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. 이 블로그에서는 rm 명
kgon.tistory.com
7. cp
• 파일 또는 디렉토리를 복사합니다.
• 사용법: cp source destination, cp -r source_directory destination_directory
리눅스(linux) 명령어 가이드: cp 명령어 사용법
리눅스 명령어 가이드: cp 명령어 사용법 Linux 및 Unix 기반 시스템에서 파일과 디렉토리를 복사하는 데 사용되는 cp 명령어는 파일 시스템을 관리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. 이 블로그에서는 cp 명령
kgon.tistory.com
8. mv
• 파일 또는 디렉토리를 이동하거나 이름을 변경합니다.
• 사용법: mv source destination
리눅스(linux) 명령어 가이드: mv 명령어 사용법
리눅스 명령어 가이드: mv 명령어 사용법 Linux 및 Unix 기반 시스템에서 파일과 디렉토리의 이름을 변경하거나 이동하는 데 사용되는 mv 명령어는 파일 시스템을 관리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. 이
kgon.tistory.com
파일 내용 확인 및 편집
1. cat
• 파일의 내용을 출력합니다.
• 사용법: cat file_name
리눅스(linux) 명령어 가이드: cat 명령어 사용법
리눅스 명령어 가이드: cat 명령어 사용법 cat 명령어는 파일의 내용을 터미널에 출력하는 데 사용됩니다. “concatenate”의 줄임말로, 여러 파일의 내용을 하나로 결합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습
kgon.tistory.com
2. less
• 파일의 내용을 페이지 단위로 출력합니다.
• 사용법: less file_name
리눅스(linux) 명령어 가이드: less 명령어 사용법
리눅스 명령어 가이드: less 명령어 사용법 less 명령어는 파일의 내용을 터미널에서 페이지 단위로 표시하고 스크롤할 수 있도록 해주는 텍스트 뷰어입니다. 이 블로그에서는 less 명령어의 기
kgon.tistory.com
3. more
• 파일의 내용을 순차적으로 출력합니다.
• 사용법: more file_name
리눅스(linux) 명령어 가이드: more 명령어 사용법
리눅스 명령어 가이드: more 명령어 사용법 more 명령어는 파일의 내용을 터미널에서 페이지 단위로 표시하는 텍스트 뷰어입니다. more는 파일의 내용을 한 번에 한 페이지씩 출력해주는 기본적
kgon.tistory.com
4. head
• 파일의 처음 몇 줄을 출력합니다.
• 사용법: head file_name, head -n 10 file_name (처음 10줄 출력)
리눅스 명령어 가이드: head 명령어 사용법
리눅스 명령어 가이드: head 명령어 사용법 head 명령어는 파일의 처음 몇 줄을 출력하는 데 사용됩니다. 파일의 시작 부분을 확인하거나 특정 수의 줄을 출력할 때 유용합니다. 이 블로그에서
kgon.tistory.com
5. tail
• 파일의 마지막 몇 줄을 출력합니다.
• 사용법: tail file_name, tail -n 10 file_name (마지막 10줄 출력)
리눅스(linux) 명령어 가이드: tail 명령어 사용법
리눅스 명령어 가이드: tail 명령어 사용법 tail 명령어는 파일의 마지막 몇 줄을 출력하는 데 사용됩니다. 로그 파일을 모니터링하거나 최근 파일 내용을 확인할 때 유용합니다. 이 블로그에
kgon.tistory.com
시스템 정보 및 관리
1. top
• 시스템의 실시간 프로세스 정보를 표시합니다.
• 사용법: top
리눅스(linux) 명령어 가이드: top 명령어 사용법
리눅스 명령어 가이드: top 명령어 사용법 top 명령어는 실시간으로 시스템의 프로세스와 리소스 사용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됩니다. CPU, 메모리 사용량, 실행 중인 프로세스 등 중요한
kgon.tistory.com
2. ps
•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 목록을 출력합니다.
• 사용법: ps, ps aux (모든 사용자 프로세스 표시)
리눅스(linux) 명령어 가이드: ps 명령어 사용법
리눅스 명령어 가이드: ps 명령어 사용법 ps 명령어는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상태를 보여주는 데 사용됩니다. 시스템의 프로세스 목록을 확인하고, 특정 프로세스의 상태를 검사하거나,
kgon.tistory.com
3. df
• 파일 시스템의 디스크 사용량을 출력합니다.
• 사용법: df, df -h (사람이 읽기 쉬운 형식)
리눅스(linux) 명령어 가이드: df 명령어 사용법
리눅스 명령어 가이드: df 명령어 사용법 df 명령어는 파일 시스템의 디스크 사용량을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. 디스크의 전체 용량, 사용 중인 공간, 사용 가능한 공간 등을 표시하여 디스크
kgon.tistory.com
4. du
• 디렉토리 및 파일의 디스크 사용량을 출력합니다.
• 사용법: du, du -h (사람이 읽기 쉬운 형식)
리눅스(linux) 명령어 가이드: du 명령어 사용법
리눅스 명령어 가이드: du 명령어 사용법 du 명령어는 파일과 디렉토리의 디스크 사용량을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. 특정 디렉토리의 사용량을 상세히 파악하거나, 하위 디렉토리별로 디스크
kgon.tistory.com
5. free
• 메모리 사용량을 출력합니다.
• 사용법: free, free -h (사람이 읽기 쉬운 형식)
리눅스(linux) 명령어 가이드: free 명령어 사용법
리눅스 명령어 가이드: free 명령어 사용법 free 명령어는 시스템의 메모리 사용 상태를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. 물리적 메모리(RAM)와 스왑 메모리의 총량, 사용량, 여유 공간 등을 표시하여
kgon.tistory.com
6. uname
• 시스템 정보를 출력합니다.
• 사용법: uname, uname -a (모든 정보)
리눅스(linux) 명령어 가이드: uname 명령어 사용법
리눅스 명령어 가이드: uname 명령어 사용법 uname 명령어는 시스템 정보를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. 커널 이름, 네트워크 호스트 이름, 커널 릴리스 번호, 커널 버전, 하드웨어 이름, 프로세서
kgon.tistory.com
네트워크
1. ping
•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합니다.
• 사용법: ping hostname_or_ip
리눅스(linux) 명령어 가이드: ping 명령어 사용법
리눅스 명령어 가이드: ping 명령어 사용법 ping 명령어는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. 특정 호스트에 ICMP(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) 에코 요청을 보내고, 응답 시간을 측정
kgon.tistory.com
2. ifconfig
•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정보를 출력하고 설정합니다.
• 사용법: ifconfig
리눅스(linux) 명령어 가이드: ifconfig 명령어 사용법
리눅스 명령어 가이드: ifconfig 명령어 사용법 ifconfig 명령어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고 네트워크 설정을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. IP 주소, 서브넷 마스크, 브로드캐스트 주소 등의
kgon.tistory.com
3. netstat
• 네트워크 연결, 라우팅 테이블, 인터페이스 통계 등을 출력합니다.
• 사용법: netstat, netstat -tuln (활성화된 포트 목록)
리눅스(linux) 명령어 가이드: netstat 명령어 사용법
리눅스 명령어 가이드: netstat 명령어 사용법 netstat 명령어는 네트워크 연결, 라우팅 테이블, 인터페이스 상태, 프로토콜 통계 등을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. 이 명령어는 네트워크 문제를 진
kgon.tistory.com
4. ssh
• 원격 서버에 안전하게 접속합니다.
• 사용법: ssh user@hostname_or_ip
리눅스(linux) 명령어 가이드: ssh 명령어 사용법
리눅스 명령어 가이드: ssh 명령어 사용법 ssh 명령어는 원격으로 다른 컴퓨터에 안전하게 접속하고 원격으로 명령을 실행하는 데 사용됩니다. SSH(보안 셸)는 네트워크 상의 다른 컴퓨터에 로그
kgon.tistory.com
파일 권한 및 소유권
1. chmod
• 파일 및 디렉토리의 권한을 변경합니다.
• 사용법: chmod permissions file_name
리눅스(linux) 명령어 가이드: chmod 명령어 사용법
리눅스 명령어 가이드: chmod 명령어 사용법 chmod 명령어는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권한을 변경하는 데 사용됩니다. 리눅스에서 파일과 디렉토리의 접근 권한은 읽기, 쓰기, 실행 권한으로 나뉘
kgon.tistory.com
2. chown
• 파일 및 디렉토리의 소유권을 변경합니다.
• 사용법: chown user:group file_name
리눅스(linux) 명령어 가이드: chown 명령어 사용법
리눅스 명령어 가이드: chown 명령어 사용법 chown 명령어는 리눅스 시스템에서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소유자와 소유 그룹을 변경하는 데 사용됩니다. 파일의 소유자와 그룹을 적절하게 설정함
kgon.tistory.com
3. chgrp
• 파일 및 디렉토리의 그룹 소유권을 변경합니다.
• 사용법: chgrp group file_name
리눅스(linux) 명령어 가이드: chgrp 명령어 사용법
리눅스 명령어 가이드: chgrp 명령어 사용법 chgrp 명령어는 리눅스 시스템에서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그룹 소유자를 변경하는 데 사용됩니다. 파일과 디렉토리의 그룹 소유권을 적절하게 설정
kgon.tistory.com
'컴퓨터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리눅스(linux) 명령어 가이드: pwd 명령어 사용법 (0) | 2024.06.07 |
---|---|
리눅스(linux) 명령어 가이드: cd 명령어 사용법과 옵션 (0) | 2024.06.07 |
이해하기 쉬운 chmod 사용법: 파일 권한 관리의 핵심 (0) | 2024.06.05 |
리눅스에서 curl 명령어 사용법 (0) | 2024.05.23 |
리눅스 wc 명령어에 대한 모든 것 (0) | 2024.05.2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