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
파일 4

[LINUX] log 파일 확인 : head , tail

[LINUX] log 파일 확인 : head , tail LINUX에서 파일 확인할 때 많이 쓰는 head , tail 명령어를 많이 씁니다. head 명령어는 파일의 앞부분을, tail 명령어는 파일의 뒷부분을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. $ head -n 5 error.log => 파일의 첫부분 5줄을 보여줍니다. $ tail -n 5 error.log => 파일의 뒷부분 5줄을 보여줍니다. -n 뒤의 숫자를 조정하면 원하는 만큼의 파일을 보여줍니다. ( 옵션을 생각하면 defalut로 10줄을 보여줍니다. ) 사실 log파일 확인시 제일 많이 쓰는 방법은 tail 명령어의 -f 옵션입니다. $ tail -f error.log => 파일내용을 화면에 계속 보여주기 때문에 파일에 추가되는 내용을 실시간으로 ..

컴퓨터/LINUX 2020.06.07

[LINUX] 파일확인 명령어 : cat, 파일날짜정보 변경 : touch

[LINUX] 파일확인 명령어 : cat, 파일날짜정보 변경 : touch LINUX에서 간단하게 파일 내용을 확인하는 방법은 cat명령어가 있다 $ cat type.txt // type.txt의 내용을 출력한다. cat은 단순히 파일 내용 확인명령어이지만 2개의 파일 1개로 합치기, 새로운 파일 만들때도 사용가능하다. $ cat a.txt b.txt > c.txt $ cat > a.txt => 파일내용 지우고 내용추가 ( ctrl + d로 저장 ) $ cat >> a.txt => 파일내용 이어서 내용추가 ( ctrl + d로 저장 ) touch는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날짜정보를 변경할 때 사용한다. $ touch a.txt => a.txt의 파일의 업데이트 일자를 현재 시간으로 변경한다.

컴퓨터/LINUX 2020.06.06

[ LINUX ] 파일 , 디렉터리 복사, 이동, 이름변경 / cp , mv

[ LINUX ] 파일 , 디렉터리 복사, 이동, 이름 변경 / cp , mv 파일을 복사하거나 이동하는 명령어에 대해서 알아봅시다. 1. 파일(디렉토리) 복사 명령어 : cp $ cp a.txt b.txt [ a.txt 파일을 b.txt로 파일 추가 생성한다. ] $ cp -r a b ( 디렉터리를 복사할 때는 옵션 -r을 추가한다. ) 2. 파일 이동 명령어 : mv $ mv a.txt b.txt // a.txt를 b.txt로 이동한다. ( 이 경우에는 결과적으로 이름 변경이 된다. ) => 다른 디렉토리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복사가 되지만, 같은 디렉터리에서 변경 시에는 이름 변경이 된다. => 즉 이름 변경에도 많이 사용되는 명령어이니 기억하자.

컴퓨터/LINUX 2020.06.04
반응형